
스마트 기술의 발전은 이제 우리 일상 곳곳에 스며들며 혁신의 방향을 바꾸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는 그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과거의 이러닝(E-learning)이 단순한 온라인 학습의 형태였다면, 오늘날의 ‘스마트 교육(Smart Education)’은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역량을 지닌 인재를 길러내는 보다 진화된 학습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 변화의 핵심에는 바로 학습관리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이 있다. LMS는 스마트 교육의 기반이 되는 학습 플랫폼으로,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콘텐츠를 연결하는 핵심 허브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시스템이 기술 중심의 디바이스 접목에 치중하고 있어, 진정한 ‘스마트 학습환경’으로의 전환은 이제 막 걸음을 내딛는 단계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기존의 교수자 중심 LMS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개별적 학습 환경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LMS’의 방향성을 탐색했다. 국내외 문헌 조사와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스마트 LMS가 지향해야 할 기술적, 교육학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는 스마트 교육과 스마트 LMS에 관한 심층 문헌 연구와 더불어, 분야별 전문성을 갖춘 8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 LMS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스마트 LMS는 클라우드 기반의 개방적이고 확장 가능한 학습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지속적으로 학습 활동을 이어갈 수 있으며, 시스템은 각 개인의 학습 상황과 패턴에 따라 콘텐츠를 유연하게 제공한다. 다시 말해, 스마트 LMS는 단순한 콘텐츠 전달 도구가 아닌,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상호작용형 학습 생태계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스마트 LMS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기초 연구로서, 미래 교육의 변화를 준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