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교육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많은 강사와 교육 기업들이 입점형 인강 플랫폼을 선택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기존 플랫폼에 강의를 올리는 것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교육 사업을 운영하기 어렵다. 오픈마켓 형태로 운영되는 입점형 플랫폼은 무한 경쟁을 유도하며 강의의 차별화가 어려워진다.
강사보다 플랫폼 성장에 집중하는 구조
입점형 플랫폼의 가장 큰 문제는 강사의 성장을 돕기보다는 플랫폼 자체의 성장을 우선시한다는 점이다. 강사 개개인의 브랜드 구축이나 장기적인 커리어보다는 강의 콘텐츠의 수량을 늘려 투자 유치에 활용하는 곳도 많다. 강사 수가 많고 강의 콘텐츠가 풍부하다는 것이 플랫폼의 가치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에서 강사들은 단순히 플랫폼의 성장에 기여하는 소모품처럼 소비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 회사도 입점형 플랫폼을 운영은 하고 있으나 한 주제별로 한 강사님만 섭외를 해 경쟁을 유도하지 않고 상생을 하고 있다.
무한 경쟁과 내부 정보 유출의 위험
또한, 경쟁 강사와 플랫폼 운영자의 정보 접근성이 문제다. 어떤 강사가 어떤 주제의 강의로 매출을 올리고 있는지 내부적으로 공유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인기 강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쟁 강사들을 유치한다. 심지어 플랫폼이 직접 유사 강의를 제작하는 일도 벌어진다. 결국 강사들은 자신이 개발한 콘텐츠로 경쟁을 심화시키는 구조에 놓인다. 이 과정에서 개별 강사들은 독립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워지고 플랫폼의 이익을 위해 희생될 가능성이 커진다.
브랜드 가치 구축의 어려움
입점형 모델에서는 소비자가 강사의 브랜드가 아니라 플랫폼의 브랜드를 먼저 인식한다. 특정 강사의 강의가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플랫폼 내에서 수많은 강의 중 하나로 소비될 뿐이다. 장기적으로 교육 사업을 지속하려면 독립적인 브랜드를 구축하고 자체 사이트를 운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브랜드 가치를 키우지 못하면 결국 플랫폼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
불리한 수익 구조
입점형 플랫폼의 높은 수수료와 광고비 부담도 문제다. 플랫폼에서 강의를 판매할 때마다 일정 비율의 수익을 가져간다. 처음에는 입점을 유도하기 위해 파격적인 제안을 한다. 70~80% 수익을 주겠다고 한다. 그 이상인 경우도 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주도권은 플랫폼으로 옮겨가게 된다. 당연히 수수료는 불리하게 바뀐다. 또한 노출을 늘리기 위해 광고를 집행하면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정작 강사에게 돌아가는 몫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반면, 자체 사이트를 운영하면 결제 시스템을 직접 구축할 수 있어 중간 수수료를 절감하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고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는 한계
또한, 입점형 플랫폼에서는 수강생의 정보를 직접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서버의 DB접속이 불가능하다. 강사 입장에서는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리텐션 전략을 세우고 새로운 강의를 홍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입점형 플랫폼에서는 이런 데이터 확보가 어렵다. 자체 사이트를 운영하면 고객 데이터를 직접 관리할 수 있어 장기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체 사이트 구축이 필수적인 이유
결국, 입점형 플랫폼은 사업 초기 교두보로 활용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독립적인 교육 플랫폼을 운영하는 것이 정답이다. 콘텐츠의 차별화, 브랜드 가치 구축, 수익 극대화까지 고려한다면 입점형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더욱이 강사의 성장이 아닌 플랫폼의 성장만을 우선하는 구조에서 벗어나려면 자체 사이트 구축이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