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에 소크라테스가 있다면 동양에는 공자가 있다. 특히 한국은 이 유교가 잘 정립되어 있는 나라다. 공자의 사상은 우리의 일상과 문화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부모 자식 형제의 기본 윤리도 없던 춘추전국 시대 공자의 사상은 혁신적이었다. 인본주의로서 공자의 사상은 요즘 현대 사회에도 의미가 크다.
논어의 첫 장
논어의 첫 번째 장은 학이(學而)편이다. 국내에서는 “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를 일반적으로 “배우고 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로 해석한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이를 다르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시습’의 의미
서양에서는 ‘時習(시습)’을 ‘때때로’가 아니라 ‘적시에’로 풀이한다. 이 경우 문장은 “학습한 것을 실제 상황에서 적용해보고 성공하면 즐겁지 아니한가?” 정도로 번역된다. 난관에 부딪혔을 때 해결법을 찾아 풀어낸 기쁨을 떠올리면 이 해석이 더 적절하게 다가온다.
공동체 학습
두 번째 문장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는 역시 매력적인 구절이다. 전통적으로는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로 번역된다. 하지만 이 또한 단순히 친구를 만나 즐거운 것이 아니라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며 문제를 해결했을 때의 성취와 즐거움을 뜻한다. 팀으로 공부하거나 협력해 목표를 달성해 본 사람이라면 이 기쁨을 깊이 공감할 수 있다.
군자
마지막 문장은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이다. 이는 공자의 철학적 깊이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에서 한단계 더 나아간 수준이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로 해석된다. 이 문장은 단순히 겸손을 넘어 시기와 질투마저 극복하는 자세를 담고 있다. 남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 수양에 몰두하는 태도를 강조한 것이다.
지식, 공동체, 그리고 인성 함양
이 세 문장은 학문의 필요성, 공동체적 삶, 그리고 인성 함양이라는 인간에게 필요한 공부의 기본을 아우른다. 한국의 교육자라면 이 가르침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고 마음속에 새겨야 할 것이다.